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IT ▶/Linux & Network14

[Linux 정리] 하드디스크 개념 정리 (HDD, RAID) - 하드디스크 (HDD: Hard Disk Drive) # 컴퓨터에서 본체 장비 중에 하나로 기본적으로 자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장치 # 비휘발성, 순차접근기억 보조 기억 장치 # 디스크 드라이버 기본 구조 : 실린더, 트랙, 섹터 실린더 : 여러 장의 원판으로 구성된 자기디스크에서 트랙을 모은 가상 원통형 트랙 : 디스크에서 원모양으로 데이터 기록 부분 섹터 : 트랙을 같은 길이로 나눈 부분 (섹터마다 주소 할당) # 일반용 PC : IDE 장치(하드디스크 접속 인터페이스) , SATA 서버용 : SCSI 장치(서버 접속 인터페이스), SAS (고성능, 속도향상) - 스토리지 네트워크 (Network Storage) #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 IP 네트워크를 통.. 2019. 4. 11.
[Linux 정리] 프로세스 개념 (process 개념), 데몬 개념 - 프로세스 (Process) # 간단히 설명하자면 '실행중인 프로그램' 의미 # 프로그램은 다수의 프로세스로 구성 # CPU에 의해서 실행 중이거나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메모리에 로딩되어 활성화) #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 ps : 프로세스 상태 확인 ex) ps -ef | grep '프로세스명' : 해당 프로세스명의 프로세스 상태 확인. kill -9 '프로세스번호' : 해당 프로세스 번호의 프로세스를 강제종료. # 프로세스 상태 : 생성, 준비, 실행, 대기, 완료 # 프로세스 번호 : 프로세스에 할당된 고유 번호 (강제제거 시 해당 프로세스 번호 사용) #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 크롬 브라우저를 실행할 경우 크롬 실행화면이 보이는 프로세스 의미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 화면같.. 2019. 4. 11.
[Linux 정리] 리눅스 파일 압축(tar/gzip) 및 CRON 개념 - 파일 묶기와 압축 # 리눅스 파일 압축 확장명은 보통 gz을 사용하였는데 이외에 zip, xz, bz2, Z 등이 있다. - 파일묶기 (tar) # 리눅스에서는 압축과 묶기가 별도로 되어있으며, 'tar' 명령어를 통해 'tar' 확장명을 가진다. # tar c : 묶음 tar x : 묶은 파일 해제 tar z : tar + gzip tar j : tar + bzip2 ex> tar cvfz test.tar.gz /data/log : tar 묶기 & gzip 압축 수행 tar xvf test.tar : tar 풀기 tar xfz test.tar.gz : gzip 압축해제 & tar 풀기 - 압축 (gzip) # gzip : gz 확장명으로 압축 또는 해제 gzip 파일명 : 파일명.gz 으로 압축 g.. 2019. 4. 10.
[Network 개념] 네트워크 개념 (프로토콜, 장비) - Network(네트워크) 개념 # TCP/IP :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통신방식으로 송수신(TCP)와 데이터 통신(IP)로 구성 # IP : 각 컴퓨터의 랜카드(Lan Card)에 있는 고유한 IP 주소 각 자리는 0~255까지의 숫자로 4바이트 구성 # 네트워크 주소 : 공통된 주소로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지 알 수 있다. # 브로드캐스트 주소 : IP에서 맨끝이 255인 주소로 모든 컴퓨터가 수신하는 주소 (내부 네트워크 내) # 게이트웨이 : 외부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통로(장비), 내부와 외부 각각 네트워크 카드가 필요 # DNS : 일반적인 google.com URL을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버 DNS의 주소를 잘못 사용하면 웹사이트 접속 불가 - Network (네트워크) in Linux.. 2019. 4. 10.
[Linux 정리] 리눅스 파일 권한 (chmod/chown), 설치(YUM) - 파일/디렉토리 권한 # 리눅스에서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마다 전체적으로 권한이 설정되어 있다. 1> 맨 앞자리는 파일유형 : d(디렉토리), -(파일), b(블록), c(문자), I(링크) drwxr-xr-x 2 root root 51 4월 10 11:33 linktest 2> 파일 허가부분으로 3개씩 나눠진다. drwxr-xr-x 2 root root 51 4월 10 11:33 linktest r : read 읽기 권한 w : write 쓰기 권한 x : execute 실행 권한 # 3개씩 나누어 읽고, 이진수로 표현한다. (첫번째는 소유자 접근 권한 'rwx', 두번째는 그룹 접근 권한 'r-x', 세번째는 일반 사용자 접근 권한 'r-x') # rwx 는 이진수로 4/2/1 표시하여 7 # r-x .. 2019. 4. 10.
[Linux 정리] 리눅스 사용자 그룹 관리 (Linux user/group) - 사용자 / 그룹 관리 (User/Group Management) 기본적으로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보기 위해서는 /etc/passwd 에서 확인. 아래처럼 cat, gedit, tail(최근 생성한 사용자 확인 편리) 등으로 해당 파일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 사용자 조회 파일 : /etc/passwd (ex : cat /etc/passwd, gedit /etc/passwd, tail /etc/passwd) - 그룹 조회 파일 : /etc/group - 사용자 의미 user1:x:1001:1001::/home/user1:/bin/bash (사용자 이름:암호:사용자ID:사용자그룹ID:전체이름:홈디렉토리:기본쉘) - 그룹 의미 testGroup:x:1000:UserA (그룹이름:비밀번호:그룹ID:그룹에속한.. 2019. 4. 10.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