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IT ▶/Java & Web42

[IT] 프록시(Proxy),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개념 정리 1. 프록시 (Proxy) -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하여 서버에서 응답받아 처리하는 방식에서 중간에 프록시 서버를 두고 중계 역할하는 개념 2. 프록시 서버 (Proxy Server) - 클라이언트 입장 : 서버 역할 수행 - 서버 입장 : 클라이언트 역할 수행 - 목적 전송 시간 절약 (캐시 방식으로 미리 저장을 해두어서 웹서버에 계속 재요청 없이 빠르게 인터넷 서비스 제공), 불필요한 외부와의 연결 방지 트래픽 감소로 인한 네트워크 병목 현상 방지 보안 (IP 보안, 접속 우회) 3. 프록시 서버 종류 : 포워드 프록시, 리버스 프록시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서버 위치에 따른 분류 A> 포워드 프록시 : 클라이언트 대신 서버로 요청 - 클라이언트 요청을 프록시 서버가 받아서 인터넷 연결 요청 - 위치 : .. 2021. 8. 11.
http, https 기본 80 포트, 443 포트와 포트 종류 포트(port) : 논리적인 접속 장소로 하나의 도메인, 하나의 ip주소가 할당되어도 뒤에 port 번호로 구별하여 각각 다른 서버에 접근 가능하다. 서버에 접근하여도 일단 IP로 붙어서 그 안에 여러가지 인스턴스를 띄우게 되면 각각 인스턴스 별로 port 번호를 주어서 호출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www.google.com 주소만 치고 접속하지만 실제 http, https 에는 주소 뒤에 기본 포트가 생략되어 있다. 1. http 기본 포트 : 80 http://www.daum.net 으로 접속하여도 http://www.daum.net:80 으로 접속과 동일하다. (기본 80 포트가 생략) 2. https 기본 포트 : 443 https://www.google.co.kr 으로 접속하여도 http.. 2021. 7. 17.
도메인(domain) 이란? - AWS route53, 사설 도메인 생성 방법 - 도메인이란 ? 도메인(domain) : ip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 이름 부여 예시) naver.com -> 220.95.233.172 daum.net -> 114.108.157.19 - 도메인 구성요소 도메인 = 컴퓨터 이름 + 최상위 도메인 예시) 1. daum.net daum : 컴퓨터 이름 net : 최상위 도메인 2. google.co.kr google : 컴퓨터 이름 co : 국가 형태의 최상위 도메인 의미 kr : 대한민국 NIC에서 관리하는 도메인 의미 - 최상위 도메인 com, .net, .org 및 기타 웹 사이트 접미사는 "최상위 도메인"(TLD) 가장 일반적인 최상위 도메인은 .com, .net 및 .org 이며, 최상위 도메인마다 의미나.. 2021. 7. 17.
모바일 App, Web 프론트엔드, 백앤드 개발 개념 - 프론트엔드 (Front-End) 일반적으로 프론트는 앞을 의미하듯이 App, PC 에서 제일 앞단을 의미한다. 처음 보여지는 App 화면, PC, 모바일 홈페이지 화면이 프론트엔드로 실제 보여지는 화면들을 개발한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이렇게 사용자가 마주보는 인터페이스를 ‘프론트엔드’라고 한다. 1> 프론트엔드 개발에 사용하는 언어 HTML : 하이퍼텍스트와 마크업 언어로 구성하며 페이지들 사이의 링크를 정의 CSS : 종속 스타일 시트(Cascading Style Sheets), CSS는 개발자가 웹페이지에 다양한 스타일을 만들어주는 디자인 언어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는 정적 HTML 페이지를 동적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이벤트 기반 명형형 프로그래밍 언어 2> 프론트엔드 .. 2021. 6. 7.
[App 개발]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차이 안녕하세요~! App을 개발하려고 할 경우 어떤 종류의 App으로 개발을 할지 고려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네이티브 App과 하이브리드 App으로 구분하는데 뭔가 web 페이지를 호출하는 느낌이면 하이브리드 App으로 판단하였는데 구분이 어려운 App들도 점점 많아진 것 같습니다. 아래 기본적인 설명과 차이점이 있어 정리해보았습니다. 1> Native App (네이티브 앱)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App 형태 * 안드로이드 SDK를 이용해 Java (자바) 언어로 만드는 App * IOS 기반 SDK를 이용해 Swift (스위프트) 로 만드는 App - 네이티브 App 장점 * 빠르다 !! : 높은 사양의 그래픽과 성능을 자랑하면서도 구동 속도가 빠른 편 * 네이티브 API를 호출.. 2021. 5. 18.
홈페이지 직접 만들기 - (2) STS Web 프로젝트 생성 및 로컬에서 웹페이지 호출 안녕하세요.! 홈페이지 만들어보기 과정 중에서 지난 번에 JDK, STS 설치까지 하였습니다. (* JDK, 이클립스 STS 설치 내용을 참고가 필요하시면 아래 내용 확인 부탁드립니다.) lovefor-you.tistory.com/391 홈페이지 직접 만들기 - (1) jdk 설치 및 이클립스 STS 설치 안녕하세요!! 홈페이지를 구축해보기 위해 우선 개발환경 설치하기를 진행해봤습니다. JDK를 설치하고, 이클립스 설치까지 우선 하였으니 한번 참고해보시면서 해보시기 바랍니다.ㅎㅎ 1> JDK 설 lovefor-you.tistory.com 우선 로컬에서 홈페이지를 띄워보려고 해서 이번에는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호출하는 소스를 만들어보고 웹서버 역할로 톰캣 서버를 설치하여 로컬에서 홈페이지 호출을 한번 해보겠.. 2021. 2. 11.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