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 (Global Information Tracker) ?

* GIT 기능
1> 파일 버전 관리
- 어떤 파일을 지속적으로 수정할 경우 이전의 원하는 버전으로 변경하거나 변경된 부분 확인 가능
2> 같이 협업하여 관리
- 서로 같은 공간에서 같은 파일을 공유하면서 수정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IT 구성
1> 레파지토리 (Repository) : 저장소
소스나 파일들을 버전별로 저장하는 장소
-> 'git init' 명령어를 통해 해당 경로를 repository 로 설정
2> Staging Area (-> 임시 보관소 느낌)
소스를 수정하고 실제 commit을 하게되면 Repository 공간에 버전이 올라가면서 저장이됩니다.
단 로컬 소스에서 Staging Area에 우선 소스를 올려놓고 거기서 commit을 하여 repository 이동합니다.
Working Directory -> Staging Area -> Repository
Staging Area 가 있는 이유는 수정을 하면서 실제 반영이 필요한 소스들만 실제 commit을 통해 Repository에
이동시키기 위한 중간 단계로 보시면 됩니다.
<참고> 이클립스에서는 소스파일을 drag 하거나 commit을 누르지만 실제 git은 아래 명령어 통해 작동
Working Directory -> Staging Area : git add "소스파일명"
Staging Area -> Repository : git commit -m "소스파일명"
Working Directory <- Staging Area : git reset "소스파일명"
3> Commit 관련
- git push : 로컬 Repository -> 원격 Repository (공동으로 쓰는 보관소)
- git pull : 원격 Repository -> 로컬 Repository
- git clone : 원격 Repository 의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가져올때 사용
-> 이클립스에서는 import 하여 git clone URL을 붙여넣기하여 가져오기도 한다.
- git diff [commit 아이디 A] [commit 아이디 B] : 두 commit 소스 간의 차이 비교
- git add [파일명] : 수정사항 있는 해당 파일을 staging area 로 올리기
* Branch (브랜치)
코드 관리하는 흐름 단위로 보통 프로젝트 소스에서 자기 담당 관련 브랜치를 생성하여
해당 브랜치를 연결하여 수정한 소스들이 들어있는 브랜치별로 빌드, 반영할 수 있습니다.
해당 브랜치를 반영하므로 자기가 수정한 부분만 반영할 수 있습니다.
1> branch 관련 명령어
- git branch 브랜치명 : 브랜치를 생성
- git branch : 브랜치 목록들을 조회
- git checkout 브랜치명 : 해당 브랜치로 연결
- git branch -d 브랜치명 : 브랜치 삭제
- git fetch : commit 된 소스를 불러와 merge는 하지 않는다. (pull 은 commit된 소스들을 가져와 merge)
- git revert : 이전에 commit 하였던 행동을 취소하고 다시 commit (원복 개념)
- git reflog : commit 하였던 로그들을 쭉 볼수 있는 명령어
'IT ▶'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cel] 엑셀 편리한 기능 모음과 단축키 (데이터 일괄 입력 방법 등) (0) | 2021.04.22 |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문자열 함수 substr(), substring(), slice() 차이 (7) | 2020.12.31 |
갑자기 모니터 화면이 안나올 때? 듀얼 모니터 인식 안될 때? (0) | 2020.09.24 |
AWS 자격증 신청 및 시험후기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Professional) (6) | 2020.09.05 |
[Kakao TV] 카카오 티비 가입 및 비즈계정 만드는 방법 (0) | 2020.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