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조건문] Java SWITCH문 사용 방법
안녕하세요?
자바에서 보통 조건문을 사용할 때, if, else if문을 사용합니다.
SWITCH 문은 IF문을 계속 여러 번 추가하고 복잡해지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처리할 경우의 수가 많을 때 사용합니다.
기본 SWITCH 구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 1. 스위치문의 조건식을 계산합니다.
switch(조건식) {
// 2. 스위치문의 조건식과 일치하는 case 문으로 이동합니다.
case (조건식 해당값 A) :
실행문장 // 3. 조건식 결과가 해당값 A의 해당될 경우 실행될 문장을 구현
break; // 4. break 문을 통해 해당 switch 조건문을 빠져나옵니다.
// 조건식 결과가 해당값 B의 해당될 경우 실행될 문장을 구현
case (조건식 해당값 B) :
break; // break 문을 통해 해당 switch 조건문을 빠져나옵니다.
default : // switch문 조건식이 위의 case 조건식의 해당되는 경우가 없을 경우 무조건 실행되는 default 문장을 구현한다.
Default 문의 위치는 어디에 있어도 무방하며, break 문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break문이 없으면, 다른 문장들도 수행되므로, case문마다 break문을 꼭 선언해야 합니다.
** switch 문의 제약조건
1> switch문의 조건식 결과는 문자열 또는 정수여야 합니다.
2> case문의 값은 정수 상수만 가능하며, 중복되면 안됩니다. (case num : 변수 사용 불가, case : 1.0 : 실수 사용 불가)
case문의 조건이 달라도 같은 문장을 수행시키기 위해서는 case문들을 같이 선언해주면 됩니다.
예시> case 조건이 1, 2, 3일 때 아래 문장을 출력한다.
case 1 : case 2 : case 3 :
System.out.println(“1,2,3 일 때 해당 문장을 수행합니다.”);
break;
아래는 Random() 클래스 사용 관련 내용입니다
필요하시면 참고하세요!
https://lovefor-you.tistory.com/160?category=326717
[Java] Random() 클래스, String 문자열 합치기(concat, append, +) 사용 방법
1> Random 클래스 : 일정 범위의 값들에서 임의수 수를 선택하여 반환하는 역할 - new Random() 으로 객체 생성 - int nextInt() : 모든 int 값의 범위의 난수를 발생시켜 반환한다. ( int 전체 범위 : -2,147,483..
lovefor-you.tistory.com
저도 필요해서 찾아봐서 정리하였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해서 작성하였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하트♥나 구독 부탁드립니다~!
파이팅 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